메타 스레드는 메타가 출시한 새로운 SNS 서비스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친구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앱입니다. 메타 스레드는 가입자가 1억 명을 돌파하며 트위터의 대항마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메타 스레드와 관련된 테마주들이 반응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메타 스레드의 성장 가능성과 함께 상승할 수 있는 테마주 5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종목명 종목코드 관련주인 이유 와이즈버즈 273060 메타와 온라인 광고대행 사업 협업 및 솔루션 제공 플레이디 237820 온라인 광고대행 사업 및 구글 프리미어 파트너사 이엠넷 123570 인터넷광고 대행 사업 및 메타 비즈니스 파트너 비트나인 357880 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마케팅 솔루션 제공 모비데이즈 363260 모바일 광고 플랫폼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운영
① 와이즈버즈 (273060) – 대장주
회사 소개
와이즈버즈는 RTB 매체(페이스북, 구글 등)를 기반으로 온라인 광고 대행, 모바일 광고의 기획, 공급효과분석 및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회사입니다.
현대차/기아를 메인으로 하고 있는 이노션(현대 자회사)은 와이즈버즈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사 중 하나입니다.
와이즈버즈는 광고주를 대신하여 해당 광고의 전략에서부터 광고 집행, 관리, 분석, 이슈 대응, 기술적 지원, 광고 소재 제작 및 데이터 등 디지털 광고 전 과정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수익 모델
와이즈버즈의 수익 모델은 광고대행 수수료와 소프트웨어 판매 수익으로 구성됩니다.
2020년 매출액은 1,000억원을 넘어서며, 광고대행 수수료가 92.87%, 소프트웨어 판매 수익이 7.13%를 차지하였습니다.
관련주인 이유
와이즈버즈는 메타와 온라인 광고대행 사업 협업을 이어오고 있으며, 메타 에이전시 오브 더 이어 수상 이력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와이즈버즈는 메타의 비즈니스 파트너로 자체 개발한 광고 최적화 솔루션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광고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상한가에 도달한 종목 중 하나이므로 메타 스레드 대장주로 부각되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2023년에는 메타 스레드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와이즈버즈는 이를 통해 광고 수주량과 매출액을 늘릴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와이즈버즈는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광고 플랫폼과 협력하고 있으며, 신규 파트너사와의 계약이나 수상 소식 등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메타 스레드의 경쟁력이 약화되거나, 광고 시장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광고 수주량이 감소하거나, 기술적 문제가 발생하거나, 규제나 법적 이슈가 발생하면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② 플레이디 (237820) – 대장주2
회사 소개
플레이디는 2010년에 설립되어, 검색광고, 디스플레이광고, 퍼포먼스광고 등 PC 및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고객이 필요로 하는 디지털마케팅의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광고대행사입니다.
국내 포털 업체에 이어 국내 광고 시장에서 중요한 입지를 구축하여 국내 광고 시장 생태계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구글 프리미어 파트너사로 선정되었습니다.
수익 모델
플레이디의 수익 모델은 광고대행 수수료와 커머스 사업 수익으로 구성됩니다.
2020년 매출액은 1,000억원을 돌파하였으며, 광고대행 수수료가 100%, 커머스 사업 수익이 0%를 차지하였습니다.
관련주인 이유
플레이디는 온라인 광고대행사이며, 페이스북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습니다.
플레이디는 최근 구글 프리미어 파트너사로 선정되었으므로 스레드 출시와 함께 상한가에 도달하였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2023년에는 메타 스레드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플레이디는 이를 통해 광고 수주량과 매출액을 늘릴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플레이디는 자체 브랜드를 런칭하였으며, 커머스 사업 분야에서도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시장 진입이나 제휴 소식 등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③ 이엠넷 (123570) – 메타 스레드 관련주
회사 소개
이엠넷은 2000년에 설립되어 국내 주요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통한 광고기획 및 광고대행사업을 주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통합마케팅 사업영역에서 디지털 마케팅 현황을 분석하고, 디지털 광고 기획, 광고 집행과 성과 관리,광고 분석 솔루션 제공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글로벌 플랫폼 업체 및 글로벌 솔루션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자체 기술력으로 솔루션을 개발하여 국내와 일본에 특허 등록하였습니다.
수익 모델
이엠넷의 수익 모델은 광고대행 수수료와 용역, 제작, 이벤트 수익, 임대료 수익으로 구성됩니다.
2020년 매출액은 1,000억원에 육박하였으며, 광고대행 수수료가 88.14%, 용역, 제작, 이벤트 수익이 9.36%, 임대료 수익이 2.50%를 차지하였습니다.
관련주인 이유
이엠넷 역시 인터넷광고 대행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메타 비즈니스 파트너(ADTech & Agency)이기 때문에 스레드 관련주로 포함되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2023년에는 메타 스레드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엠넷은 이를 통해 광고 수주량과 매출액을 늘릴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이엠넷은 자체 브랜드를 런칭하였으며, 코마스인터렉티브를 인수하여 브랜딩 마케팅 분야까지 확장하였습니다. 새로운 시장 진입이나 제휴 소식 등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메타 스레드의 경쟁력이 약화되거나, 광고 시장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광고 수주량이 감소하거나, 기술적 문제가 발생하거나, 규제나 법적 이슈가 발생하면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④ 비트나인 (357880) – 메타 스레드 관련주
회사 소개
비트나인은 2017년에 설립되어 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동사는 AI 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 ‘데이터브릭스’와 AI 기반 마케팅 플랫폼 ‘마켓브릭스’를 개발하였습니다.
동사는 2021년 11월 18일 코스닥에 신규 상장하였습니다.
수익 모델
비트나인의 수익 모델은 소프트웨어 판매 수익과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수익으로 구성됩니다.
2020년 매출액은 100억원을 넘어서며, 소프트웨어 판매 수익이 66.67%,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수익이 33.33%를 차지하였습니다.
관련주인 이유
비트나인은 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메타 스레드와 같은 SNS 서비스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트나인은 이러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므로 스레드 관련주로 포함되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2023년에는 메타 스레드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비트나인은 이를 통해 솔루션 수요와 매출액을 늘릴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비트나인은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와 업종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신규 고객사와의 계약이나 수상 소식 등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메타 스레드의 경쟁력이 약화되거나, 데이터 분석 및 마케팅 시장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솔루션 수요가 감소하거나, 기술적 문제가 발생하거나, 규제나 법적 이슈가 발생하면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⑤ 모비데이즈 (363260) – 메타 스레드 관련주
회사 소개
모비데이즈는 2014년에 설립되어 모바일 광고 플랫폼 ‘모비업’과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모비톡’을 운영하는 회사입니다.
동사는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다양한 광고 형태와 타겟팅 기능을 제공하며,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에서는 인플루언서와 광고주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동사는 2021년 11월 18일 코스닥에 신규 상장하였습니다.
수익 모델
모비데이즈의 수익 모델은 광고대행 수수료와 인플루언서 마케팅 수수료로 구성됩니다.
2020년 매출액은 1,000억원에 육박하였으며, 광고대행 수수료가 80.95%, 인플루언서 마케팅 수수료가 19.05%를 차지하였습니다.
관련주인 이유
모비데이즈는 모바일 광고 플랫폼과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을 운영하는 회사입니다.
메타 스레드와 같은 SNS 서비스는 모바일 기기에서 주로 사용되며, 인플루언서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공간입니다.
모비데이즈는 이러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므로 스레드 관련주로 포함되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2023년에는 메타 스레드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모비데이즈는 이를 통해 플랫폼 수요와 매출액을 늘릴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모비데이즈는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광고 형태와 인플루언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신규 고객사와의 계약이나 수상 소식 등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메타 스레드의 경쟁력이 약화되거나, 모바일 광고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플랫폼 수요가 감소하거나, 기술적 문제가 발생하거나, 규제나 법적 이슈가 발생하면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