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관련 테마주 Best 5 추천 및 호재 분석

종목명종목코드관련주인 이유
일성건설013360정치테마주로 상승폭이 크고, 다각화된 수주 전략과 신규 사업 발굴을 통해 성장 가능성이 높음
GS건설006360대형 종합건설업체로 시공능력과 신뢰도가 높고, 모듈러주택 사업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함
HDC현대산업개발294870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로서 시너지를 창출하고, 해외시장에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수주함
대우건설047040대형 종합건설업체로 시공능력과 신뢰도가 높고, 브랜드 가치가 높음
현대건설000720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로서 시너지를 창출하고, 해외시장에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수주함

건설사 관련 테마주는 건설업계의 동향과 성장 가능성에 따라 주가가 변동하는 종목들입니다. 건설업계는 정부의 재정정책, 부동산 시장, 해외 수주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건설사별로 강점과 전략이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건설사 관련 테마주 중에서 2023년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Best 5 종목을 추천하고, 각 종목의 회사 소개, 수익 모델, 관련주인 이유, 2023년 호재나 악재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① 일성건설 (013360) – 대장주

회사 소개

일성건설은 1978년 설립된 종합건설회사로, 토목공사와 건축공사, 녹지조성사업 등의 조경공사, 아파트 분양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T/K, SOC (BTL) 등 발주 공사의 입찰에 참여하고 있으며, 신탁, 재정비 및 재개발사업 FED 및 해외 토목 등 시장 개척을 통한 수주 확대, 공공택지를 통한 분양사업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대한건설협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액 기준으로 도급순위 64위로, 작년 68위 대비 상승하였습니다.

수익 모델

일성건설의 수익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 건축: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공장 등의 건축공사를 수행하며, 아파트 분양사업을 통해 매출을 창출합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73.89%를 차지합니다.
  • 국내 토목: 도로, 철도, 하수도, 항만 등의 토목공사를 수행하며, T/K, SOC (BTL) 등 발주 공사의 입찰에 참여합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16.88%를 차지합니다.
  • 해외 토목: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의 해외시장에서 도로, 철도, 항만 등의 토목공사를 수행하며,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해 매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8.90%를 차지합니다.
  • 자체공사: 자체적으로 보유한 부동산을 개발하거나 임대하는 사업을 수행합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0.33%를 차지합니다.

관련주인 이유

일성건설은 건설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로 선정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치테마주로 자주 엮여서 한 번 상승할 때 주가 상승폭이 큽니다. 이재명 관련주 중 대표 종목입니다.
  • 다각화된 수주 전략과 신규 사업 발굴을 통해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탁, 재정비 및 재개발사업 FED 및 해외 토목 등 시장 개척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공공택지를 통한 분양사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부동산 정책의 영향을 받는 종목이 많은 편입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일성건설은 2023년까지 다음과 같은 호재나 악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호재: 정부의 SOC 예산 증액 및 민간투자 활성화 정책에 따라 국내외 토목 사업의 수주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정책의 완화나 유연화에 따라 아파트 분양 사업의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악재: 원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 원가 부담이 커져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정책의 강화나 규제에 따라 아파트 분양 사업의 수요가 감소하거나 분양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면 해외 사업의 진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② GS건설 (006360) – 수혜주

회사 소개

GS건설은 1969년 락희개발 (주)로 설립된 종합건설회사로, 인프라, 건축, 주택신축판매, 플랜트, 전력 및 해외종합건설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건설업, 부가통신업, 건설용역업, 서비스업, 임대업 등이 있습니다. 국내 건설시장의 성장 한계를 극복하고 Sustainable Global Company로 도약하기 위해 제조업 등 탈건설 사업을 비롯한 신성장동력 발굴에 힘쓰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GS건설의 수익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건축/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공장 등의 건축공사를 수행하며, 자이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66.68%를 차지합니다.
  • 플랜트: 석유화학시설 및 발전소를 건설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14.82%를 차지합니다.
  • 인프라: 도로, 철도, 항만 등의 인프라공사를 수행하며, 싱가포르, 베트남 등의 해외시장에서 시공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8.99%를 차지합니다.
  • 신사업: 모듈러주택 전문회사들을 인수하여 글로벌 모듈러 주택의 강자로 도약하고 국내를 포함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시장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8.52%를 차지합니다.
  • 기타: 자체적으로 보유한 부동산을 개발하거나 임대하는 사업을 수행합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0.99%를 차지합니다.

관련주인 이유

GS건설은 건설 관련주 중에서 수혜주로 선정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형 종합건설업체로 플랜트, 건축, 토목, 주택, 전력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시공능력과 신뢰도가 높습니다.
  • 제조업 등 탈건설 사업을 비롯한 신성장동력 발굴에 힘쓰고 있으며, 모듈러주택 사업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해외시장에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수주하며 매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Marina South 복합개발 현장의 본드콜로 일회성 이익이 반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GS건설은 2023년까지 다음과 같은 호재나 악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호재: 정부의 SOC 예산 증액 및 민간투자 활성화 정책에 따라 국내외 인프라 사업의 수주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모듈러주택 사업의 성장과 싱가포르 Marina South 복합개발 현장의 완공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악재: 원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 원가 부담이 커져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면 해외 사업의 진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③ HDC현대산업개발 (294870) – 수혜주

회사 소개

HDC현대산업개발은 2016년 현대산업개발과 HDC아이콘트롤스가 합병하여 설립된 종합건설회사로, 건설, 개발, 플랜트, 전력, 물류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건설업,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전기공사업, 토목공사업, 플랜트공사업 등이 있습니다.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로서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HDC현대산업개발의 수익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건설: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공장 등의 건축공사를 수행하며, 현대힐스테이트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64.77%를 차지합니다.
  • 개발: 부동산 개발 및 재개발 사업을 수행하며, 주거용 부동산과 상업용 부동산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19.66%를 차지합니다.
  • 플랜트: 석유화학시설 및 발전소를 건설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15.64%를 차지합니다.
  • 기타: 전력, 물류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자체적으로 보유한 부동산을 개발하거나 임대하는 사업도 포함됩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0.15%를 차지합니다.

관련주인 이유

HDC현대산업개발은 건설 관련주 중에서 수혜주로 선정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형 종합건설업체로 건축, 개발,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시공능력과 신뢰도가 높습니다.
  •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로서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으며, 그룹 내에서 발생하는 건설 수주에 우선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해외시장에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수주하며 매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쿠웨이트 KNPC MAB2 프로젝트 등 일회성 이익이 반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HDC현대산업개발은 2023년까지 다음과 같은 호재나 악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호재: 정부의 SOC 예산 증액 및 민간투자 활성화 정책에 따라 국내외 인프라 사업의 수주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개발 및 재개발 사업의 성장과 쿠웨이트 KNPC MAB2 프로젝트의 완공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악재: 원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 원가 부담이 커져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면 해외 사업의 진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④ 대우건설 (047040) – 수혜주

회사 소개

대우건설은 1973년 설립된 종합건설회사로, 도로, 철도 등 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하는 토목사업과 아파트등을 건설하는 주택건축사업, 석유화학시설 및 발전소를 건설하는 플랜트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건설업,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전기공사업, 토목공사업, 플랜트공사업 등이 있습니다.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으며, 대우건설의 브랜드 가치는 2021년 기준으로 1조 9,000억원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수익 모델

대우건설의 수익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토목: 도로, 철도, 하수도, 항만 등의 토목공사를 수행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33.2%를 차지합니다.
  • 건축/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공장 등의 건축공사를 수행하며, 대우건설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49.3%를 차지합니다.
  • 플랜트: 석유화학시설 및 발전소를 건설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5.3%를 차지합니다.
  • 기타: 리조트, 급식·식자재유통, 바이오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자체적으로 보유한 부동산을 개발하거나 임대하는 사업도 포함됩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12.2%를 차지합니다.

관련주인 이유

대우건설은 건설 관련주 중에서 수혜주로 선정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형 종합건설업체로 토목, 건축/주택,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시공능력과 신뢰도가 높습니다.
  • 대우건설의 브랜드 가치는 2021년 기준으로 1조 9,000억원으로 평가되었으며, 국내외에서 인지도가 높습니다.
  • 해외시장에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수주하며 매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인한 영업이익 하락이 일시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대우건설은 2023년까지 다음과 같은 호재나 악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호재: 정부의 SOC 예산 증액 및 민간투자 활성화 정책에 따라 국내외 토목 사업의 수주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개발 및 재개발 사업의 성장과 일회성 비용의 환입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악재: 원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 원가 부담이 커져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면 해외 사업의 진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⑤ 현대건설 (000720) – 수혜주

회사 소개

현대건설은 1947년 설립된 종합건설회사로, 토목, 건축, 주택, 플랜트, 환경, 산업시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건설업,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전기공사업, 토목공사업, 플랜트공사업 등이 있습니다.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로서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현대건설의 수익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토목: 도로, 철도, 하수도, 항만 등의 토목공사를 수행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29.6%를 차지합니다.
  • 건축/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공장 등의 건축공사를 수행하며, 현대아이파크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48.2%를 차지합니다.
  • 플랜트: 석유화학시설 및 발전소를 건설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14.7%를 차지합니다.
  • 기타: 환경, 산업시설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자체적으로 보유한 부동산을 개발하거나 임대하는 사업도 포함됩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매출액의 7.5%를 차지합니다.

관련주인 이유

현대건설은 건설 관련주 중에서 수혜주로 선정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형 종합건설업체로 토목, 건축/주택,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시공능력과 신뢰도가 높습니다.
  •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로서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으며, 그룹 내에서 발생하는 건설 수주에 우선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해외시장에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수주하며 매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쿠웨이트 KNPC MAB2 프로젝트 등 일회성 이익이 반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현대건설은 2023년까지 다음과 같은 호재나 악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호재: 정부의 SOC 예산 증액 및 민간투자 활성화 정책에 따라 국내외 토목 사업의 수주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개발 및 재개발 사업의 성장과 쿠웨이트 KNPC MAB2 프로젝트의 완공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악재: 원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 원가 부담이 커져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면 해외 사업의 진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