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명 | 종목코드 | 관련주인 이유 |
---|---|---|
한화솔루션 | 009830 | 태양광 모듈 시장 1위,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 해외 시장 확대 |
SDN | 099220 |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부품 공급, 해외 프로젝트 수행, 수익 다각화 |
신성이엔지 | 011930 |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부품 공급, 클린룸 설치공사 및 FFU 제공, 반도체 등 전방산업과 연계 |
대한그린파워 | 060900 | 태양광 모듈 판매 및 설치, 해외 시장 확대, 신기술 연구개발 |
현대에너지솔루션 | 322000 | 태양광 모듈 및 발전시스템 제공, ESS 및 바이오매스 발전 제공, 해외 프로젝트 수행, 신기술 연구개발 |
태양광 발전은 신재생에너지의 대표적인 형태로, 태양의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태양광 발전은 환경친화적이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에 대응하는 미래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전지판과 인버터, 발전시스템 등 다양한 부품과 설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부품과 설비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태양광 관련주라고 불리며, 태양광 시장의 성장과 함께 수익성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태양광 관련주 중에서도 특히 성장 잠재력이 높은 대장주와 수혜주 5개를 추천하고, 각 종목의 회사 소개, 수익 모델, 관련주인 이유, 2023년 호재나 악재를 분석해보겠습니다.
① 한화솔루션 (009830) – 태양광 대장주
회사 소개
한화솔루션은 한화그룹의 핵심 회사로, 다양한 분야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태양광 사업부문에서는 글로벌 태양광 토탈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태양광 모듈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의 미드스트림에 해당하는 셀·모듈 생산부터 개인 주택·상업 시설·대형 발전소에 이르는 다운스트림 분야의 솔루션까지 보유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한화솔루션의 수익 모델은 크게 원료 사업부문과 인사이트 사업부문으로 나뉩니다. 원료 사업부문은 폴리실리콘과 케미칼 등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부문이며, 인사이트 사업부문은 도시개발과 큐셀(GES), 갤러리아(프리미엄라이프스타일) 등을 포함하는 부문입니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원료 사업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53.7%, 영업이익 비중은 87.8%이며, 인사이트 사업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46.3%, 영업이익 비중은 12.2%입니다.
관련주인 이유
한화솔루션은 태양광 관련주의 대장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 사업부문의 성장과 함께, 원료 사업부문의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과 공급 부족에 따른 수익성 향상이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2022년 하반기에는 폴리실리콘 대규모 증설 유입으로 폴리실리콘 가격하향 안전 전망에 따라 실적 향상이 예상됩니다. 또한 한화솔루션은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도 태양광 모듈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며, 신기술 개발과 신규 프로젝트 수주 등을 통해 태양광 사업의 외형 성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한화솔루션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 지속, 태양광 모듈 수요 증가, 해외 프로젝트 수주 확대, 신기술 개발 및 출시, 신규 사업 진출 등
- 악재: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 태양광 모듈 공급 과잉, 해외 경쟁사의 공격적인 시장 침투, 환율 및 원자재 가격 변동 등
② SDN (099220) – 태양광 수혜주
회사 소개
SDN은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태양전지판, 인버터 등을 공급하는 업체입니다. 또한 어민 및 레져 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선외기를 공급하는 엔진ㆍ조선 사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SDN은 국내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중동,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도 태양광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책사업 및 국책과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SDN의 수익 모델은 크게 태양광 사업부문과 엔진ㆍ조선 사업부문으로 나뉩니다. 태양광 사업부문은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태양전지판, 인버터 등을 공급하는 부문이며, 엔진ㆍ조선 사업부문은 선외기를 공급하는 부문입니다. 2021년 12월 기준으로 태양광 사업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70.9%, 영업이익 비중은 94.7%이며, 엔진ㆍ조선 사업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29.1%, 영업이익 비중은 5.3%입니다.
관련주인 이유
SDN은 태양광 관련주 중에서도 수혜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부품의 수요 증가에 따라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SDN은 불가리아에 동유럽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였고, 태국, 필리핀,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도 태양광 발전시스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에서는 뉴딜어촌 뉴딜 300 사업과 연계하여 마리나형 어항 건립 지원 및 알루미늄 어선 어민 지원 FRP 어선 대체 사업 지원 등을 통해 수익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SDN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부품 수요 증가, 해외 프로젝트 수주 확대, 신기술 개발 및 출시, 신규 사업 진출 등
- 악재: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부품 공급 과잉, 해외 경쟁사의 공격적인 시장 침투, 환율 및 원자재 가격 변동 등
③ 신성이엔지 (011930) – 태양광 수혜주
회사 소개
신성이엔지는 1977년에 설립된 에너지 전문기업입니다. 현재 클린환경 사업부문과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클린환경 부문의 클린룸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전방산업의 설비투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부문은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ESS를 설치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신성이엔지의 수익 모델은 크게 클린환경 사업부문과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으로 나뉩니다. 클린환경 사업부문은 클린룸 설치공사와 FFU(Fan Filter Unit) 등을 제공하는 부문이며,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은 태양광 제품과 태양광시스템을 제공하는 부문입니다. 2021년 12월 기준으로 클린환경 사업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56.2%, 영업이익 비중은 65.9%이며,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27.7%, 영업이익 비중은 34.1%입니다.
관련주인 이유
신성이엔지는 태양광 관련주 중에서도 수혜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ESS의 수요 증가와 함께, 클린룸 설치공사와 FFU 등의 수요 증가로 인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신성이엔지는 해드림에너지와 태양광 사업(제품과 서비스 공급)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력이 있으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태양광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클린룸 설치공사와 FFU 등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전방산업의 설비투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러한 산업의 성장과 함께 수익성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신성이엔지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 수요 증가, 해외 프로젝트 수주 확대, 신기술 개발 및 출시, 신규 사업 진출 등
- 악재: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 공급 과잉, 해외 경쟁사의 공격적인 시장 침투, 환율 및 원자재 가격 변동 등
④ 대한그린파워 (060900) – 태양광 수혜주
회사 소개
대한그린파워는 1997년에 설립된 태양광 모듈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태양광 모듈 판매 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0%를 상회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광 모듈 제조에 필요한 장비와 부품을 자체 개발하고 있으며, 신기술 연구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대한그린파워의 수익 모델은 크게 태양광 사업부문과 기타 사업부문으로 나뉩니다. 태양광 사업부문은 태양광 모듈 판매와 태양광 발전시스템 설치 등을 제공하는 부문이며, 기타 사업부문은 LED 조명 제조 및 판매 등을 제공하는 부문입니다. 2021년 12월 기준으로 태양광 사업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91.9%, 영업이익 비중은 98.4%이며, 기타 사업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8.1%, 영업이익 비중은 1.6%입니다.
관련주인 이유
대한그린파워는 태양광 관련주 중에서도 수혜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 모듈 판매와 태양광 발전시스템 설치의 수요 증가로 인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대한그린파워는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동남아시아,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도 태양광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책사업 및 국책과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광 모듈 제조에 필요한 장비와 부품을 자체 개발하고 있으며, 신기술 연구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대한그린파워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태양광 모듈 판매와 태양광 발전시스템 설치 수요 증가, 해외 프로젝트 수주 확대, 신기술 개발 및 출시, 신규 사업 진출 등
- 악재: 태양광 모듈 판매와 태양광 발전시스템 설치 공급 과잉, 해외 경쟁사의 공격적인 시장 침투, 환율 및 원자재 가격 변동 등
⑤ 현대에너지솔루션 (322000) – 태양광 수혜주
회사 소개
현대에너지솔루션은 현대중공업그룹의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태양광 모듈과 ESS 등을 제공합니다. 또한 바이오매스 발전과 수소충전소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현대에너지솔루션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신기술 연구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현대에너지솔루션의 수익 모델은 크게 태양광 사업부문과 ESS 사업부문으로 나뉩니다. 태양광 사업부문은 태양광 모듈과 태양광 발전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부문이며, ESS 사업부문은 ESS와 바이오매스 발전 등을 제공하는 부문입니다. 2021년 12월 기준으로 태양광 사업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65.6%, 영업이익 비중은 76.4%이며, ESS 사업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34.4%, 영업이익 비중은 23.6%입니다.
관련주인 이유
현대에너지솔루션은 태양광 관련주 중에서도 수혜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 모듈과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수요 증가와 함께, ESS와 바이오매스 발전 등의 수요 증가로 인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현대에너지솔루션은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인도, 베트남 등 해외 시장에서도 태양광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책사업 및 국책과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에너지솔루션은 태양광 모듈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신기술 연구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현대에너지솔루션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태양광 모듈과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수요 증가, ESS와 바이오매스 발전의 수요 증가, 해외 프로젝트 수주 확대, 신기술 개발 및 출시, 신규 사업 진출 등
- 악재: 태양광 모듈과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공급 과잉, ESS와 바이오매스 발전의 공급 과잉, 해외 경쟁사의 공격적인 시장 침투, 환율 및 원자재 가격 변동 등
결론
태양광 관련주는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과 함께 수익성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는 종목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태양광 관련주 중에서도 대장주와 수혜주 5개를 추천하고, 각 종목의 회사 소개, 수익 모델, 관련주인 이유, 2023년 호재나 악재를 분석해보았습니다. 이 글이 태양광 관련주 투자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