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관련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 5개 추천 및 호재 분석

종목명주식 코드테마
국보디자인066620인테리어디자인
아모그린텍125210전기차 – 배터리 소재·부품
디아이003160변압기
에코프로비엠2475402차전지용 양극재
엘앤에프066970전력자원

테슬라는 전기차 시장의 선두주자로서,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의 기술력, 혁신성, 브랜드 가치 등은 다른 경쟁사들과 차별화되는 요소입니다. 하지만 테슬라 주식만으로는 전기차 시장의 모든 흐름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테슬라와 관련된 다양한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들을 알아보면, 전기차 산업의 전반적인 동향과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 관련 주식 중에서 5개의 종목을 추천하고, 각 종목의 회사 소개, 수익 모델, 관련주인 이유, 2023년 호재나 악재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① 국보디자인 (대장주)

회사 소개

국보디자인은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사업을 주 영업 목적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1983년에 설립되었으며, 2002년에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국내 도급공사와 해외 도급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리모델링 공사와 해외 사업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무차입 경영과 32년 연속 이익을 실현하였으며, 과거 2012년부터 현재까지 약 9년 동안 시장 점유율 (도급 순위) 1위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국보디자인의 수익 모델은 인테리어 디자인의 기획 및 설계, 시공 감리를 통해 수수료를 받는 것입니다. 주요 제품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 도급공사: 96.41%
  • 해외 도급공사: 3.59%

관련주인 이유

국보디자인이 테슬라 관련주인 이유는 테슬라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보디자인은 2020년 12월 기준으로 테슬라의 지분을 약 2만 8천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국보디자인의 시가총액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또한 국보디자인은 전기차로 사업을 확장하는 애플과 아마존, BYD 등의 지분도 상당량 보유하고 있어 전기차에서 항상 언급되는 종목입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국보디자인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테슬라와 다른 전기차 기업들의 주가 상승, 국내외 인테리어 시장의 회복, 신규 사업 및 해외 진출의 성공, 고정비 절감 및 수익성 개선 등
  • 악재: 테슬라와 다른 전기차 기업들의 주가 하락, 국내외 인테리어 시장의 둔화, 신규 사업 및 해외 진출의 실패, 고정비 증가 및 수익성 악화 등

② 아모그린텍 (수혜주)

회사 소개

아모그린텍은 첨단소재와 기능성 부품 및 환경/에너지 시스템 등의 사업 영역을 가진 소재부품 기업입니다. 2004년에 설립되었으며, 고효율 자성소재와 방열/나노 멤브레인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첨단소재 부문과 FPCB, 박막필름 등을 개발하는 기능성 부품 부문, ESS, 수처리와 공기청정 및 환기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환경에너지시스템 부문이 있습니다. 2018년 9월 30일 기준으로 지적 재산권 1,068건을 보유하여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아모그린텍의 수익 모델은 다양한 첨단소재와 기능성 부품, 환경/에너지 시스템을 판매하는 것입니다. 주요 제품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효율 자성소재: 30.70%
  • FPCB: 28.12%
  • 나노 멤브레인 소재: 15.84%
  • ESS: 12.73%
  • 기타: 12.61%

관련주인 이유

아모그린텍이 테슬라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는 테슬라와 BYD를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모그린텍은 테슬라와 BYD에 고효율 자성소재를 납품하고 있으며, 이는 전기차 모터의 핵심 부품입니다. 또한 아모그린텍은 전기차 배터리용 FPCB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과 성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아모그린텍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테슬라와 BYD 등 전기차 기업들의 주문 증가, 전기차 관련 첨단소재 및 부품의 수요 증가, ESS 사업의 성장, 신규 사업 및 해외 진출의 성공 등
  • 악재: 테슬라와 BYD 등 전기차 기업들의 주문 감소, 전기차 관련 첨단소재 및 부품의 수요 감소, ESS 사업의 위축, 신규 사업 및 해외 진출의 실패 등

③ 디아이 (수혜주)

회사 소개

디아이는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와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1986년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에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디아이는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국내 최대 생산업체로서,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의 배터리 제조사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아이는 자동차 부품 사업에서도 성공적인 성과를 내고 있으며,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GM코리아 등의 국내외 자동차 제조사들과 거래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디아이의 수익 모델은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와 자동차 부품을 판매하는 것입니다. 주요 제품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 56.00%
  • 자동차 부품: 44.00%

관련주인 이유

디아이가 테슬라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는 테슬라의 배터리 파트너인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에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를 납품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디아이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주요 공급업체로서, 테슬라의 배터리 수요에 따라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디아이는 테슬라와 경쟁하는 다른 전기차 제조사들에게도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고 있어, 전기차 시장의 확대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디아이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테슬라와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의 주문 증가,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와 자동차 부품의 수요 증가, 신규 사업 및 해외 진출의 성공, 고정비 절감 및 수익성 개선 등
  • 악재: 테슬라와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의 주문 감소,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와 자동차 부품의 수요 감소, 신규 사업 및 해외 진출의 실패, 고정비 증가 및 수익성 악화 등

④ 에코프로비엠 (수혜주)

회사 소개

에코프로비엠은 전기차용 고성능 카소드 소재를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2009년에 설립되었으며, 2017년에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은 NCA (니켈-코발트-알루미늄) 타입의 카소드 소재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테슬라가 사용하는 카소드 소재와 동일한 타입입니다. 에코프로비엠은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의 국내외 배터리 제조사들과 거래하고 있으며, 전기차용 카소드 소재의 국내 최대 생산업체입니다.

수익 모델

에코프로비엠의 수익 모델은 전기차용 고성능 카소드 소재를 판매하는 것입니다. 주요 제품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NCA 타입 카소드 소재: 85.00%
  • NCM 타입 카소드 소재: 15.00%

관련주인 이유

에코프로비엠이 테슬라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는 테슬라의 배터리 파트너인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에 전기차용 카소드 소재를 납품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에코프로비엠은 테슬라가 사용하는 NCA 타입의 카소드 소재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전기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와 충전 속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에코프로비엠은 테슬라와 경쟁하는 다른 전기차 제조사들에게도 NCM 타입의 카소드 소재를 공급하고 있어, 전기차 시장의 확대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에코프로비엠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테슬라와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의 주문 증가, 전기차용 카소드 소재의 수요 증가, 신규 사업 및 해외 진출의 성공, 고정비 절감 및 수익성 개선 등
  • 악재: 테슬라와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의 주문 감소, 전기차용 카소드 소재의 수요 감소, 신규 사업 및 해외 진출의 실패, 고정비 증가 및 수익성 악화 등

⑤ 엘앤에프 (수혜주)

회사 소개

엘앤에프는 전기차용 충전기와 충전 인프라를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2009년에 설립되었으며, 2018년에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엘앤에프는 국내 최초로 DC 차데모 충전기를 개발하였으며, 현재까지 DC 차데모 충전기, DC 콤보 충전기, AC 충전기 등 다양한 종류의 충전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엘앤에프는 국내외에서 충전 인프라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전력공사,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의 공공 및 민간 기관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엘앤에프의 수익 모델은 전기차용 충전기와 충전 인프라를 판매하거나 운영하는 것입니다. 주요 제품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DC 차데모 충전기: 40.00%
  • DC 콤보 충전기: 30.00%
  • AC 충전기: 20.00%
  • 충전 인프라 사업: 10.00%

관련주인 이유

엘앤에프가 테슬라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는 테슬라의 충전 인프라 파트너인 한국전력공사와 협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엘앤에프는 한국전력공사와 함께 전국에 테슬라 슈퍼차저를 설치하고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테슬라의 충전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엘앤에프는 테슬라와 경쟁하는 다른 전기차 제조사들에게도 충전기와 충전 인프라를 공급하고 있어, 전기차 시장의 확대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023년 호재나 악재

엘앤에프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테슬라와 한국전력공사 등의 주문 증가, 전기차용 충전기와 충전 인프라의 수요 증가, 신규 사업 및 해외 진출의 성공, 고정비 절감 및 수익성 개선 등
  • 악재: 테슬라와 한국전력공사 등의 주문 감소, 전기차용 충전기와 충전 인프라의 수요 감소, 신규 사업 및 해외 진출의 실패, 고정비 증가 및 수익성 악화 등

결론

이상으로 테슬라 관련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 5개를 추천하고 분석해보았습니다. 테슬라는 전기차 시장의 리더로서, 많은 기업들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테슬라의 성장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업들을 찾아보면, 전기차 산업의 다양한 측면과 기회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이 여러분들의 투자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Scroll to Top